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ESG
안전보건환경 경영 조직

안전보건환경 경영 위원회 |
• 회사의 안전보건환경에 관한 조직, 인력, 예산 등을 결정하는 최고의사결정 기구이다. |
최고안전책임자 |
• 회사의 안전보건환경 경영에 관한 조직, 인력, 예산 등을 총괄하는 책임과 권한을 가진다. |
안전보건관리책임자 |
• 각 사업장의 안전보건환경에 관한 조직, 인력, 예산 등을 운영하는 책임과 권한을 가진다. |
EHS 위원회 |
• EHS 시스템 운영에 대한 주요사항을 심의, 확정하는 기구이다. |
산업안전보건 위원회 |
•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여 안전보건을 유지 및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
EHS팀 |
• 각 사업장의 EHS 시스템을 유지, 관리하는 실무조직이다. |
관리감독자 |
• 각 조직의 안전보건환경 시스템을 유지, 관리하는 실무담당자이다. |
도급 및 협력업체 |
• 에스티팜의 사업영역에서 도급, 용역, 위탁 등의 업무를 제공하는 업체를 말한다. |
도급업체 안전보건협의체 |
• 도급 사업 시 수급업체의 안전보건에 관한 사항을 협의하기 위한 협의체이다. |
안전보건환경 방침
에스티팜은 생명존중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전 사업영역에 걸친 안전보건환경 확보 의무를 최우선으로 합니다.
우리는 구성원, 파트너, 지역사회, 소비자 및 투자자의 안전 및 건강을 보호함과 동시에 자원 및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 과정(Life-cycle)에 걸쳐 안전보건환경 영향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본 방침은 전 사업영역에 걸친 안전보건환경 위험과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에스티팜이 준수하여야 할 법률, 규정, 절차, 매뉴얼의 기반을 설명하고 있으며, ‘생명을 살리는 혁신 기업’으로서 글로벌 기업의 책임을 포함하는『에스티팜 경영윤리 규범』과 안전보건환경 확보 의무를 준수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에스티팜 안전보건환경 경영에 관한 규정』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안전보건환경 관계 법령, 국제협약 및 고객의 요구사항을 준수하기 위해 회사 규정을 설정하여 운영한다.
2.잠재적인 유해∙위험요인의 확인 및 개선을 통해 제품의 설계, 생산, 유통, 사용, 폐기 등 전 과정에 걸쳐
안전보건환경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3.안전보건환경 목표 달성을 위해 투자활동을 강화하며, 자원 절약과 재활용 촉진을 위해 적극 노력한다.
4.안전하고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해, 예방활동을 기본으로 공정안전 기술력과 비상대응체계 능력을 확보한다.
5.지역사회 안전보건환경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지역사회의 안전보건환경 증진 활동에 앞장선다.
안전보건환경 방침 PDF
환경경영 정책

환경경영 목표
기후변화 로드맵
안전보건 목표

안전보건환경경영 위원회 활동
2025년
2025. 03. 28 | 1. 1분기 사고 현황 1) 관계기관 대응 2) 위험물 취급 절차 개선 3) 노동조합 면담 결과 2. 연구소 안전관리 1) 연구본부 현황 2) '24년 연구본부 안전환경 이슈 3) '25년 연구본부 안전환경 계획 3. 중대재해관리 1) '24년 중대재해처벌법 점검 결과 2) '25년 점검 및 안전관리 계획 4. 환경경영 1)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 결과 2) 기후변화 로드맵 이행 현황 |
2024년
2024. 11. 25 | 1. '24년 중대재해처벌법 판결 분석 2. 서울캠퍼스 유해위험요인 확인 및 개선조치 |
2024. 08. 27 | 1. '24년 상반기 사고조사 보고 2. '24년 하반기 업무계획 3. 서울캠퍼스 위험성평가 4. '24년 상반기 안전보건 확보의무 점검 |
2024. 04. 01 |
1. '23년 재해지표 |
2023년
2023. 12. 12 | 1. '23년 안전보건환경 주요 업무 2. '24년 업무계획 3. 중대재해처벌법 동향 |
2023. 09. 06 | 1. PSCI Audit 2. Ecovadis 평가 |
2023. 07. 17 | 1. KCGS 평가 대응 2. 온실가스 배출 및 규제 현황 3. G社, EHS&Labor Audit |
2023. 05. 23 | 1. 정기 위험성 평가 2. 사회적책임경영 1) 거버넌스와 리더십 2) 사회적책임경영 위원회 3) 경영윤리규범 4) 지속가능경영 목표 |
2023. 04. 11 | 1. 사회적책임경영 의의 |
2023. 03. 14 | 1. 그룹 사회책임경영 성과 평가 2. 사회책임경영 구축 계획 |
2023. 02. 21 | 1. 사회적책임경영 업무계획 |
2023. 01. 18 |
1. KCGS 평가 대응전략 2. '22년 안전보건환경 경영 업무실적 |
2022년
2022. 12. 19 | 1. KCGS 평가 결과 2.안전보건환경 자체 감사 3. '23 연간업무계획 |
2022. 11. 21 | 1. R社, ESH Audit 결과 2.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업무수행평가 3. 동종업계 사고 사례 4. PSM 정기평가 결과 5. Carbon Neutral |
2022. 09. 26 | 1. Ecovsdis 평가 결과 보고 2.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친환경 성과 관리 |
2022. 07. 01 | 1. 안전보건환경 경영 조직 2. 안전보건환경 경영에 관한 규정 개정 3. 안전보건관계 법령 점검결과 4. 상반기 사고 현황 |
2022. 06. 03 | 1. 중대재해처벌법 업무현황 2. 안전설비 도입 3. 이노베이션센터 건축 진행 현황 |
2022. 05. 04 | 1. 안전보건환경 경영 선포식 1) 안전보건환경 경영에 관한 규정 제정 2) 안전보건환경 방침 제정 |
2022. 04. 15 | [가칭. 안전위원회] 1. 최고의사결정기구 - 안전보건환경 경영 위원회 2. 안전보건환경 경영 규정, 방침, 목표 보고 |
2022 .03. 04 | [가칭. 안전위원회] 1. 안전보건환경 관리체계 구축 보고 2. 안전보건환경 방침안 보고 3. 기타 - 제정 요구 문서 보고 |
2022. 02. 10 |
[가칭. 안전위원회] |
환경활동
에스티팜은 경영 활동에서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에스티팜과 직원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구에서 인간의 삶을 지속하기 위해 다음 세대를 위한 지구환경 보호의 의무가 있기 때문입니다.
온실가스 배출
에스티팜은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구축하여 직∙간접적인 배출원과 배출량을 확인합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목표를 수립하여 운영합니다.
2024년까지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전년대비 원단위 Scope 1, 2 배출량 5% 감축'입니다.
2025년 기후과학기반감축목표(SBT)수립하였으며, SBTi 검증 완료 후 SBT기반 감축목표 달성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2024.12.31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Scope 1 +2 배출량 | tCO2eq | 21,415 | 24,243 | 26,146 | |||||||
Scope 1 |
tCO2eq |
326 | 395 | 422 | |||||||
Scope 2 |
tCO2eq |
21,089 | 23,848 | 25,724 | |||||||
원단위 Scope 1 +2 배출량 | tCO2eq/억원 | 8.589 | 8.507 | 9.551 | |||||||
원단위 Scope 1 +2 증감률 | % | - | -0.96 | 12.28 | |||||||
Scope 3 배출량 |
tCO2eq |
46,384 | 49,884 | 47,787 | |||||||
C1. 구매한 제품 및 서비스 | tCO2eq | 36,762 | 39,635 | 36,829 | |||||||
C2. 자본재 | tCO2eq | 42 | 17 | 27 | |||||||
C3. Scope 1, 2에 포함되지 않는 연료 및 에너지 활동 |
tCO2eq | 6,214 | 7,041 | 7,718 | |||||||
C4. 업스트림 운송 및 유통 | tCO2eq | 1,111 | 662 | 698 | |||||||
C5. 사업장에서 발생한 폐기물 | tCO2eq | 836 | 839 | 937 | |||||||
C6. 구성원 출장 | tCO2eq | 215 | 284 | 331 | |||||||
C7. 구성원 통근 | tCO2eq | 815 | 848 | 874 | |||||||
C9. 다운스트림 운송 및 유통 | tCO2eq | 54 | 65 | 74 | |||||||
C10. 판매한 제품의 가공 | tCO2eq | 335 | 493 | 302 | |||||||
총 온실가스 배출량 |
tCO2eq |
67,799 | 74,127 | 73,933 |
에너지 사용
에스티팜은 제품의 생산, 사용, 폐기, 운송 전과정을 개선하여 에너지 사용 감축을 위해 노력합니다.
국가 정책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적극 확대하고 탄소중립을 위한 계획과 목표를 수립하여 운영합니다.
2024년까지 에너지 감축목표는 '전년대비 원단위 에너지 배출량 5% 감축'입니다.
2025년 기후과학기반감축목표(SBT)수립하였으며, SBTi 검증 완료 후 SBT기반 감축목표 달성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감축목표 달성 활동의 일환으로 재생에너지 전환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2025년부터 구체적인 재생에너지 전환율 목표를 수립하고 실천해 나가겠습니다.
에너지 사용량
2024.12.31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총 에너지 사용량 |
TJ |
216.3 | 244.8 | 267.3 | |||||||
비재생에너지 사용량 |
TJ | 216.3 | 244.8 | 267.2 | |||||||
연료 |
TJ | 5.7 | 5.8 | 7.0 | |||||||
전기1) |
TJ | 119.6 | 136.0 | 146.1 | |||||||
MWh | 33,214 | 37,754 | 40,585 | ||||||||
열(증기) |
TJ | 91.0 | 103.0 | 114.1 | |||||||
재생에너지 사용량1)2) (태양광에너지 발전량) |
TJ | 0 | 0.03 | 0.04 | |||||||
MWh | 0 | 8.54 | 11.02 | ||||||||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 | % | 0 | 0.023 | 0.027 | |||||||
원단위 에너지 사용량 | TJ/억원 | 0.087 | 0.086 | 0.098 | |||||||
원단위 에너지 증감률 | % | - | -1.16 | 12.25 |
1)전기에너지 환산 값은 3.6GJ/MWh을 적용함
2)태양광에너지 발전량은 재생에너지 사용으로 전체 소비 완료됨
물 사용
에스티팜은 수자원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줄이거나 재사용하기 위해 제품의 생산, 사용, 폐수처리 전과정을 개선하여 수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2024년 물 감축목표는 '전년대비 원단위 취수량 5% 감축'입니다.
2024.12.31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총 취수량 |
ton |
164,533 |
184,583 |
190,258 | |||
상수 |
ton |
124,996 | 133,683 | 151,325 | |||
공업용수 |
ton |
39,537 | 50,900 | 38,933 | |||
원단위 취수량 |
ton/억원 |
66 | 64.8 | 69.5 | |||
원단위 취수량 증감율 | % | - | -1.85 | 6.76 | |||
총 용수 배출량 |
ton |
68,129 | 75,442 | 79,827 | |||
총 용수 재사용량 |
ton |
8,137 | 12,493 | 13,070 |
1)당사 제품 내 물 함유량이 0이므로, ‘조직이 사업활동을 위해 소비한 용수의 총량’이라는 ‘용수 소비’의 정의에 따라 해당 항목을 0으로 표기함
수질오염
에스티팜은 사업장 내에서 발생하는 폐수 처리를 위한 시설은 법률에 따라 운영되며 모든 과정은 기록 관리합니다.
2024.12.31
구 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총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
ton
|
1.247 | 2.632 | 1.030 | |||||||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
ton
|
0.507 | 0.128 | 0.198 | |||||||
유기탄소(TOC) | ton | 0.590 | 0.280 | 0.419 | |||||||
질소(TN) |
ton
|
0.124 | 2.166 | 0.375 | |||||||
부유물질(SS) | ton | 0.026 | 0.028 | 0.038 |
폐기물
에스티팜은 원∙부자재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줄이거나 재활용 또는 재사용하기 위해 제품의 생산, 사용, 폐기 전 과정을 개선하여 폐기물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사업장 밖으로 배출하는 폐기물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관, 운반 및 처리까지 법률을 준수하고 모든 과정은 기록 관리합니다.2024년 에너지 감축목표는 '전년대비 원단위 폐기물 발생량 5% 감축'입니다.
폐기물 배출량
2024.12.31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총 폐기물 배출량 |
ton |
10,494.67 | 11,871.94 | 12,483.86 | |||
일반폐기물 |
ton |
487.66 | 512.17 | 570.19 | |||
사업장폐기물 |
ton |
333.40 | 314.92 | 364.17 | |||
생활폐기물 |
ton |
154.26 | 197.25 | 206.02 | |||
지정폐기물 |
ton |
10,007.01 | 11,359.11 | 11.913.67 | |||
원단위 폐기물 발생량 | ton/억원 | 4.21 | 4.17 | 4.56 | |||
원단위 증감률 | % | - | -0.96 | 8.55 | |||
총 폐기물 재활용량 |
ton |
6,690.45 | 7,933.99 | 8,268.07 | |||
폐기물 재활용률 |
% |
63.75 | 66.83 | 66.23 |
폐기물 처리량
2024.12.31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총 폐기물 소각 처리량 |
ton |
2,675.27 | 2,254.30 | 3,550.12 |
일반 폐기물 |
ton |
135.46 | 176.82 | 182.72 |
지정 폐기물 |
ton |
2,539.81 | 2,077.48 | 3,367.40 |
총 폐기물 매립 처리량 |
ton |
30.16 | 59.1 | 20.19 |
일반 폐기물 | ton | 6.77 | 0 | 0 |
지정 폐기물 | ton | 23.39 | 59.1 | 20.19 |
폐기물 기타 처리량 |
ton |
1,098.80 | 1,624.08 | 645.48 |
일반 폐기물 | ton | 0 | 0 | 0 |
지정 폐기물 | ton | 1,098.80 | 1,624.08 | 645.48 |
수입 원자재 포장재 재활용성 강화
에스티팜은 수입 원자재 포장재의 재활용성 강화를 위해 재질과 구조를 분석∙실험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재활용 용이성 등급을 평가하여 재활용성을 강화합니다. (포장재 재질∙구조 평가제도)
대기오염
에스티팜은 제품의 생산, 사용, 폐기하는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법률에 따라 대기오염 방지시설을 운영하고 모든 과정을 기록 관리합니다.
대기배출 현황
2024.12.31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총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
ton |
21.895 |
23.250 |
11.007 | |||||||
먼지 | ton | 0.528 | 0.435 | 0.645 | |||||||
황산화물(SOx) | ton | 0.060 | 0.442 | 0.275 | |||||||
질소산화물(NOx) | ton | 0.497 | 1.163 | 0.797 | |||||||
총 탄화수소(THC) | ton | 20.710 | 21.210 | 9.290 |
친환경 투자
에스티팜은 자원절약과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기술 및 환경 신기술 도입을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습니다.
친환경 투자는 생산자이자 소비자로서 지켜야 할 간접적인 환경보호 활동입니다.
2024년 친환경 투자 실적
2024.12.31
투자내역 |
목적 |
비용 |
|||||||||||
유해화학물질 취급/저장시설(실험실,탱크야드) 누출경보시스템 설치 |
화학물질관리법 개정 - 신규유독물질 영업변경 허가 유예기간 연장 |
115.5 |
|||||||||||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 RTO1)설치를 통한 THC, VOCs 저감 | 대기환경보전법 - 배출시설 발생가스에 대한 THC 관리 강화 물인터넷기반 환경운영시스템 도입을 통한 운영상태 실시간 제공 |
2,099.9 | |||||||||||
물인터넷기반 환경운영시스템 도입을 통한 운영상태 실시간 제공 | 348 | ||||||||||||
폐수처리장 설비 보완을 통한 폐수 오염물질 저감 | 물환경보존법 - 출시설 발생 폐수에 대한 효율적 처리를 위한 조치 | 750 | |||||||||||
폐액탱크 레벨에 대한 알람경보 시스템 설치 | 폐기물관리법 - 일부 강화 개정 | 29.5 | |||||||||||
계 |
3,342.9 |
1)RTO : 축열 연소 탈취장치, Regenerative Thermal Oxidizer
화학물질
에스티팜은 제품의 생산, 사용, 폐기 전 과정에서 취급되는 화학물질의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유해·위험성을 평가합니다.
화학물질의 사용, 운송, 보관, 저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누출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확산방지시설, 감지시설을 설치하고 비상사태의 대응 및 복구를 위한 시나리오를 유지합니다.
2024.12.31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유해화학물질 총 사용량 |
ton | 2,555 | 3,393 | 4,181 |
유해화학물질 현황 |
종 | 104 | 114 | 114 |
유독물질 | 종 | 73 | 84 | 80 |
금지물질 | 0 | 0 | 0 | |
사고대비물질 | 31 | 30 | 34 |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모든 화학물질을 식별하고, 법에서 정하고 있는 화학물질 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화학물질 관리대장’을 구축하여 운영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에스티팜은 한국에 위치합니다.'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 K-REACH)에 따라 수입하는 원료, 제조하는 물질에 대한 K-REACH를 준수합니다.
K-REACH 현황
2024.12.31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등록 및 평가 |
||||
수입화학물질 |
건 |
0 |
0 |
0 |
제조화학물질 |
0 |
0 |
0 |
|
등록 면제 |
||||
수입화학물질 |
건 |
27 | 42 | 27 |
제조화학물질 |
10 | 1 | 3 | |
신고 면제 |
||||
수입화학물질 |
건 |
113 | 86 | 69 |
제조화학물질 |
13 | 14 | 15 | |
신규물질 신고 |
||||
수입화학물질 |
건 |
3 | 7 | 1 |
제조화학물질 |
0 | 0 | 0 |
환경교육
에스티팜은 직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동등한 교육훈련 기회를 제공합니다. 각 개인의 평등함과 다양성을 존중하고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차별 없는 건강한 기업 문화 조성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환경교육 현황
2024.12.31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기후변화 인식교육 | 시간 | - | - | 58 |
환경 직무교육1) |
시간 |
4,530 | 4,902 | 4,932 |
1)환경교육 : 유해화학물질 취급자 교육, 유해화학물질 종사자 교육, 유해화학물질 기술인력 교육, 의료폐기물 배출자 교육, 대기환경 기술인 교육, 수질환경 기술인 교육
안전보건, 환경 법규 모니터링
에스티팜은 안전보건환경 경영 시스템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안전보건, 환경 관련 법규 제개정 사항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안전보건, 환경 법규 위반 현황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법규위반 | 건 | 1 | 1 | 0 |
지역사회 고지
에스티팜은 사업장 내에서 발생한 사고가 지역사회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장외영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지역사회 게시판과 우편발송을 통해 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화캠퍼스와 반월캠퍼스 주변 소규모 업체의 비상상황 대응에 도움을 주고자 에스티팜이 보유하고 있는 방제용품을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2024년 지역사회 고지 현황
2024.12.31
시화캠퍼스 |
반월캠퍼스 |
2024. 12. 20 |
2024. 12. 11-20 |
안전보건 활동
에스티팜은 직원, 고객사, 협력업체, 방문자 및 지역사회의 안전 및 건강을 보호합니다.
우리는 사업 전반에 걸친 안전 및 보건에 관련한 유해위험성을 식별하고 시정 및 예방하기 위해 위험성 평가를 실시합니다. 위험성 평가의 결과와 시정 및 예방조치 결과는 모든 관계자에게 교육하고 홍보합니다.
에스티팜의 경영활동의 기반은 직원, 고객사, 협력업체, 방문자 및 지역사회의 안전과 건강입니다. 안전하고 건강 친화적인 사업장을 유지하는 것이 구성원들의 생명을 지키는 일이며『생명을 살리는 혁신 기업』이라는 비전을 달성하는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유해위험요인 관리(위험성 평가)
2024.12.31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설비 위험성 |
평가대상 | 건 | 33 | 61 | 63 | ||||||
식별요인 | 10 | 42 | 42 | ||||||||
개선(이행률) | 건(%) | 10(100) | 42(100) | 42(100) | |||||||
공정 위험성 |
평가대상 | 건 | 7 | 13 | 12 | ||||||
식별요인 | 18 | 22 | 12 | ||||||||
개선(이행률) | 건(%) | 18(100) | 22(100) | 12(100) | |||||||
작업 위험성 |
평가대상 | 건 | 31 | 40 | 39 | ||||||
식별요인 | 31 | 50 | 79 | ||||||||
개선(이행률) | 건(%) | 31(100) | 50(100) | 79(100) |
*설비 및 공정 위험성 : 시화, 반월캠퍼스 대상 / 작업 위험성 : 시화, 반월, 서울캠퍼스 대상
사고조사 및 보고
2024.12.31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임직원 |
근로손실 재해 합계 |
건 |
11 | 12 | 16 | ||||||
업무상 사망 |
0 |
0 |
0 |
||||||||
심각한 업무상 부상1) |
0 |
0 |
0 |
||||||||
업무상 부상 |
산업재해2) |
3 |
1 |
1 |
|||||||
안전사고3) |
8 |
11 |
15 |
||||||||
도수율(근로손실 재해율, LTIFR)4) - 100만 시간당 재해건 |
7.12 |
7.44 |
9.70 |
||||||||
강도율(근로손실 강도율, LTISR)5) - 1,000 근로시간당 근로손실일수 |
0.22 |
0.16 |
0.13 |
||||||||
업무 관련 질병 사망 |
건 |
0 |
0 |
0 |
|||||||
업무 관련 질병 발생 |
0 |
0 |
0 |
||||||||
협력사6) |
근로손실 재해 합계 |
건 |
0 |
0 |
0 |
||||||
업무상 사망 |
0 |
0 |
0 |
||||||||
심각한 업무상 부상1) |
0 |
0 |
0 |
||||||||
업무상 부상 |
0 |
0 |
0 |
||||||||
업무 관련 질병 사망 |
0 |
0 |
0 |
||||||||
업무 관련 질병 발생 |
0 |
0 |
0 |
1) 사망을 제외한 중대재해(중대산업재해) 발생 건수
2) 재해를 원인으로 3일 이상 요양이 필요한 사고
3) 재해를 원인으로 3일 미만 요양이 필요한 사고
4) 도수율(Lost Time Injury Frequency Rate) : 연간 총 근로 1,000,000 시간 당 재해발생 건수 = 재해건수 X 1,000,000/총 근로시간수(연간 총 근로시간)
5) 강도율(Lost Time Injury Severity Rate) : 연간 총 근로 1,000시간 당 재해발생으로 인한 손실일수 = 근로손실일수 X 1,000/총 근로시간수(연간 총 근로시간)
6) 에스티팜 사업장 내 상주 도급업체 대상(식당, 미화, 경비, 폐수)
안전보건교육
2024.12.31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임직원 안전보건교육 |
평가1) 대상자 |
명 |
669 | 699 | 710 |
평가 합격자 |
명 |
669 | 699 | 710 | |
협력사 안전보건교육 |
대상 인원(기업 수) | 명(개 사) | 30(3) | 30(3) | 30(3) |
실시 인원(기업 수) | 명(개 사) | 30(3) | 30(3) | 30(3) |
1) 안전보건환경 교육의 효과와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연 1회 평가 (합격 기준 70점 미만자는 재교육 및 재평가 실시)
사업연속성
에스티팜은 우리의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사와 복용하는 환자들에게 중단 없이 제공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신속한 복구를 위한 시나리오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비상상황 발생 시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사태 대비 및 대응계획, 복구계획을 매년 수립하고 검토하고 있습니다.
사업 연속성 관리 계획(BCP,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Plan)을 기반으로 자연재해, 공급망 차질 등 다양한 리스크를 평가하고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리스크는 발생 가능성과 영향도를 기준으로 분석하며, High, Medium, Low의 3등급으로 구분하여 관리합니다. 특히 High 및 Medium 등급의 위험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사전 대응 전략과 복구 계획을 수립하여 대응합니다. 복구 계획은 장기 운영 중단 대응을 위한 Recovery Plan과 화재, 폭발, 단전 등 사고 발생 시 피해 최소화를 위한 Emergency Response Plan으로 운영됩니다. 이를 통해 핵심 업무를 신속히 복구하고 기업 운영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BCP 운영에는 생산, 시설, 물류, 품질관리 등 전사적 조직이 참여하여 위험 요인을 도출하고, 부서별 복구 계획을 관리하며, 정기적인 리스크 평가 및 모의 훈련을 통해 복구 계획의 실효성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보완합니다.
생물다양성
에스티팜 시화캠퍼스와 반월캠퍼스는 경기도 시흥과 안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 지역은 국가산업단지로서 생물다양성 가치가 높지 않은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제조시설 운영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배출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오염요인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합니다.
이러한 활동은 환경에 영향을 주는 오염요인을 식별하고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로 활용됩니다
환경보호구역 식별
1.시화캠퍼스 |
||
구분 |
지리적 위치 |
비고 |
에스티팜 |
경기도 시흥시 |
공업지역 |
공원자연보존지구 |
수리산 도립공원,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
이격거리 16km |
수산자원 보호구역 |
사업장 70km 인근에는 수산자원 보호구역 없음. |
이격거리 76km |
철새도래지 |
사업장 가장 인접한 철새도래지(천수만철새도래지)는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에 위치함. |
이격거리 80km |
천연기념물 |
시흥시 내에는 천연기념물이 지정되지 않음. |
이격거리 10km |
대기관리권역 |
경기도 시흥시는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수도권 대기관리권역에 해당됨 |
- |
2.반월캠퍼스 |
||
구분 |
지리적 위치 |
비고 |
에스티팜 |
경기도 안산시 |
공업지역 |
공원자연보존지구 |
수리산 도립공원,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
이격거리 13km |
수산자원 보호구역 |
사업장 70km 인근에는 수산자원 보호구역 없음. |
이격거리 78km |
철새도래지 |
사업장 가장 인접한 철새도래지(천수만철새도래지)는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에 위치함. |
이격거리 80km |
천연기념물 |
안산시 내에는 천연기념물이 지정되지 않음. |
이격거리 4.4km |
대기관리권역 |
경기도 안산시는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수도권 대기관리권역에 해당됨 |
- |
3.서울캠퍼스 |
||
구분 |
지리적 위치 |
비고 |
에스티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
상업지역 |
공원자연보존지구 |
남한산성 도립공원,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
이격거리 11km |
대기관리권역 |
서울특별시 전지역은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수도권 대기관리권역에 해당됨 |
- |